프로그래밍 언어/JAVA
기초 3. 형 변환(type casting)
Minerva579
2024. 10. 2. 09:21
반응형
어!...
그렇다.. 오늘은 자바의 타입캐스팅이란 것을 알아볼 것이다.
그렇다면 바로 본론이다.
- 용어 정리 -
1. 형 변환
- 형변환이란 프로그래밍에서 하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뜻한다.
그리고 형 변환에는 두가지의 형 변환이 있는데....
2. 자동 형 변환
- 그것은 첫째로 자동 형 변환이다. 자동 형 변환이란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을 바꾸어주는 과정을 뜻한다.
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손실(변형)이 없다.
int a = 5; // int 4bite 메모리
double b = 4.2; // double 8bite 메모리 int(4bite) < double(8bite) 임으로
double result = a + b; // a는 자동으로 double로 변환 이때 데이터 손실 발생X
System.out.println(result); // 출력: 9.2
3. 강제 형 변환
- 강제 형 변환이란 프로그래머가 명시적(직접적)으로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. 이 때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.
double result = 9.78; // double 타입
int num = (int) result; // double에서 int로 강제 변환
System.out.println(num); // 출력: 9
// 9.78에서 소수점 이하의 값이 잘리게 되어 0.78이 손실이 난 것을 알 수 있음.
반응형